[인물] 자크 이브 쿠스토 jacques yves cousteau. Legend of SCUBA

이미지
쿠스토.. 아쿠아렁.. 스쿠버의 아버지 등등 자크 이브 쿠스토라는 이름을 어디에선가 한번 들어보 았을것이라고생각된다. 혹시 처음 들어 보는 이름이라면 이번 기회에 알아도는것도 스쿠버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나쁘지 않을것 같다. 쿠스토에 대한 글을 쓰기전에 이 사람의 대한 자료를 찾던 중 이사람에대하여 잘 정리해놓은 글이 있어서 내가 쓰기를 대신 하여 첨부 하여 넣었다. 구글을 통해 쿠스토를 검색하면 영어버젼의 위키백과에 자세하게 소개 되어있지만 많은정보에 정리가 잘 안된것 같아서 박중서 님이 정리한 글을 발췌하였다. 박중서님의 글은 세계수중협회와 쿠스토의 관계가 즉 그는 Confederation Mondiale des Activités Subaquatiques(CMAS) 창설에 참여 했으며 1959 년에서 1973 년까지 창립 총장직을 역임한 내용이 소개되어있지는 않지만 전체적인 내용이 빠짐없이 소개되어 있다. “ 자크 이브 쿠스토 (...) 붉은 모자를 쓴 귀족적인 사나이, 전설적인 배 칼립소 호의 선장,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침묵의 세계]의 저자, 해저 탐험가, 영화감독, 환경보호운동가 (...) 집념의 탐험가였던 그는 (...) 반세기 동안 세계를 누비며 사려 깊은 눈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를 살폈다. 누구보다 일찍 텔레비전의 영향력을 알았던 그는 이를 대중 계몽의 도구로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명성을 전 세계에 알렸다. 칠판이 교사들의 필수품이라면, 텔레비전의 작은 화면은 자크 이브 쿠스토의 경험과 사상을 유감없이 전달하는 칠판이었다. 계층을 초월한 수많은 관객들이 그 칠판 앞으로 몰려들었다.” -베르나르 비올레 해군 장교 출신으로 잠수 전문가가 되다 자크 이브 쿠스토(이하 편의상 ‘쿠스토’로 통일)는 1910년 6월 11일 프랑스 남서부 지롱드 주 생탕드레드퀴작에서 태어났다. 쿠스토의 아버지는 파리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미국 유학을 다녀왔으며, 이후 프랑스에서 활동한 미국인 사업가들의 개인 비서로 오랫동안 근...

스쿠버다이빙 단체/협회&교육 선택의 기준과 참고사항

이미지
안녕하세요. UDIVE 입니다. 이제 스쿠버다이빙을 시작하거나 이미 시작하신분들이 항상 하는 고민중에 하나 바로 어느 단체의 교육을 받고 C-card를 발급 받을것이냐? 막말로 어디 자격증을 딸 것이냐? 그리고 다들 하는 말이 이거 아니면 그거는 외국에서 인정 안해준다는데 그래서 준비 해보았습니다. 이거냐 저거냐 이건 뭐고 저건 뭐냐... 사실 다이빙 협회/단체 먼저 소개하는 포스팅을 하려고 보니 많디 많은 협회를 다 소개 할수가 없더라구요. (서로 통용(크로스오버)되고 제생각에 대표적인 협회를 정하려다 보니 기준이 필요해서...) *크로스오버-서로 다른 단체의 교육을 상호인정해줌  EX)나우이에서 오픈워터를 취득, 패디에서 어드밴스취득 시 패디에서 오픈워터교육을 다시 받지않고 나우이오픈워터교육을 인정 받을수있는것 그래서 협회선택 전에 알아두면 좋을 내용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먼저 다이빙협회를 살펴보면 정말 많습니다. 그래서 어느 단체가 좋고 나쁘다고 말하는것은 지극히 주관적인 기준이 아닐까 싶습니다. 단체가 가지는 특성은 있지만 교육의 질은 교육을 하는 강사에게 있습니다. 차라리 어디 단체는 어떤 교육이 좋고 어디는 어떤부분이 좋다 말하는 것이 현명하겠군요. 물론 자기가 속한 단체를 홍보하고 알리는것은 좋은 활동이지만 그렇다고 다른 단체는 아니라고 비하하는것은 부적절한 것 같습니다. 흔히 여러분이 잘 알고 있는 유명한 다이빙단체를 예로 들어보면 CMAS, PADI, NAUI, SSI, SDI/TDI, BSAC 등등 많은 단체가 있습니다. 위에서도 언급을 하였지만 서로 다른 각 단체의 다이빙교육을 인정 하느냐 안하느냐의 기준으로 다이빙단체가 세계적으로 인정 받느냐 안받느냐 기준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럼 그기준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준은 다이빙 선진국인 유럽과 미국에서는 다이빙 교육단체의 품질관리를 협약, 인증해주는 기관을 통해서 자기 단체의 공신력을 가지게 됩니다. 이...

페이스북 페이지도 있다는걸 잊고있었다...

https://www.facebook.com/udivekr

History of SCUBA. 스쿠버의 역사

이미지
잠수의 역사라고 하면 5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많은 기록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포스팅은 잠수의 역사가 아닌 스쿠버(수중자가호흡)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 볼까 해요. 먼저 물속에서 장치를 숨을 쉬고 활동을 한다고 하면 스쿠버활동이라고 생각되지만 흔히 머구리라고 하는 표면공급식 호흡장치를 사용하는 활동도 있지요. 표면공급식 잠수는 스쿠버 활동과 차이가 있으니 표면공급식 잠수 역사도 넘어가도록하겠습니다. 스쿠버의 역사는 어떻게 보면 장비발달의 역사라고 볼수도있습니다. 아무렇지 않게 우리가 사용하는 이 장비들이 그당시 획기적인 발명품들이 되었지요. 내용이 길어질것같아 말투를 다나까버전으로 바꾸겠습니다. 표면공급식 잠수복장 스쿠버 잠수의 역사 1825년 영국인 윌리엄제임스가 스쿠버 장비를 개발 하여 30Bar의 압력으로 공기를 저장할수있는 공기탱크를  다이버 상체주변에 장착하였으나 다이빙을 한 기록은 확실지 않다. 1865년 프랑스 브노아 루케이롤과 해군대위 오거스트 드네이로스는 표면공급식잠수 장비형대인 공기 공급 호스를 가진 헬멧형 잠수복을 고안하였는데 이는 비상시에 다이버에게 공기를 공급할수 있도록 등쪽에 장착된 자가식 공기 저장장치를 가지고있었다.  다이버는 호스를 분리하고 등에 진 탱크를 이용하여  수분간 호흡을 할수있었고 이는 스쿠버 장비(폐쇄회로 호흡장비)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76년 영국 상선선원이었던 헨리 프루스는 현대식 재호흡기의 시조인 폐쇄식 스쿠버장비를 개발하여 1880년 영국인 다이버 램버트가 써번강(Servern river)에 침수된 터널에 이장비를 이용하여 수평으로 1Km이동하여 밸브를 잠가 범람을 예방했다고 한다. 이 장비는 압력용기에 약 30Bar 압력으로 충전한 공기로  호흡을 가능하게 하였다. 1911년 독일  드레거(Dragerwerk)사에서 2시간동안 활동할수있는 재호흡기를 시판 1925년 미...

[영상] 아닐라오 다이브엔트랙 잭피쉬

이미지
 씨하우스 레포츠 클럽에서 찍은 아닐라오 다이브엔트랙 근처 잭피쉬 무리 영상 감상하세요.

[영상] 심장뛰는 난파선 다이빙, 용갈라 렉 S.S.YONGALA WRECK with Ceci 20170620

이미지
 호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병학 강사의 멋지고 따끈한 동영상 첨부합니다. 아~보고만 있어도 좋내요.

[영상]추억의 다이빙-Anilao diving, SM Resort 20150913

이미지
날씨도 덥고 바다는 멀고 대리만족을 위해 영상하나 올립니다. 이거보고 대리만족해야겠어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