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UDIVE 입니다. 이제 스쿠버다이빙을 시작하거나 이미 시작하신분들이 항상 하는 고민중에 하나 바로 어느 단체의 교육을 받고 C-card를 발급 받을것이냐? 막말로 어디 자격증을 딸 것이냐? 그리고 다들 하는 말이 이거 아니면 그거는 외국에서 인정 안해준다는데 그래서 준비 해보았습니다. 이거냐 저거냐 이건 뭐고 저건 뭐냐... 사실 다이빙 협회/단체 먼저 소개하는 포스팅을 하려고 보니 많디 많은 협회를 다 소개 할수가 없더라구요. (서로 통용(크로스오버)되고 제생각에 대표적인 협회를 정하려다 보니 기준이 필요해서...) *크로스오버-서로 다른 단체의 교육을 상호인정해줌 EX)나우이에서 오픈워터를 취득, 패디에서 어드밴스취득 시 패디에서 오픈워터교육을 다시 받지않고 나우이오픈워터교육을 인정 받을수있는것 그래서 협회선택 전에 알아두면 좋을 내용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먼저 다이빙협회를 살펴보면 정말 많습니다. 그래서 어느 단체가 좋고 나쁘다고 말하는것은 지극히 주관적인 기준이 아닐까 싶습니다. 단체가 가지는 특성은 있지만 교육의 질은 교육을 하는 강사에게 있습니다. 차라리 어디 단체는 어떤 교육이 좋고 어디는 어떤부분이 좋다 말하는 것이 현명하겠군요. 물론 자기가 속한 단체를 홍보하고 알리는것은 좋은 활동이지만 그렇다고 다른 단체는 아니라고 비하하는것은 부적절한 것 같습니다. 흔히 여러분이 잘 알고 있는 유명한 다이빙단체를 예로 들어보면 CMAS, PADI, NAUI, SSI, SDI/TDI, BSAC 등등 많은 단체가 있습니다. 위에서도 언급을 하였지만 서로 다른 각 단체의 다이빙교육을 인정 하느냐 안하느냐의 기준으로 다이빙단체가 세계적으로 인정 받느냐 안받느냐 기준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럼 그기준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준은 다이빙 선진국인 유럽과 미국에서는 다이빙 교육단체의 품질관리를 협약, 인증해주는 기관을 통해서 자기 단체의 공신력을 가지게 됩니다. 이...
잠수의 역사라고 하면 5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많은 기록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포스팅은 잠수의 역사가 아닌 스쿠버(수중자가호흡)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 볼까 해요. 먼저 물속에서 장치를 숨을 쉬고 활동을 한다고 하면 스쿠버활동이라고 생각되지만 흔히 머구리라고 하는 표면공급식 호흡장치를 사용하는 활동도 있지요. 표면공급식 잠수는 스쿠버 활동과 차이가 있으니 표면공급식 잠수 역사도 넘어가도록하겠습니다. 스쿠버의 역사는 어떻게 보면 장비발달의 역사라고 볼수도있습니다. 아무렇지 않게 우리가 사용하는 이 장비들이 그당시 획기적인 발명품들이 되었지요. 내용이 길어질것같아 말투를 다나까버전으로 바꾸겠습니다. 표면공급식 잠수복장 스쿠버 잠수의 역사 1825년 영국인 윌리엄제임스가 스쿠버 장비를 개발 하여 30Bar의 압력으로 공기를 저장할수있는 공기탱크를 다이버 상체주변에 장착하였으나 다이빙을 한 기록은 확실지 않다. 1865년 프랑스 브노아 루케이롤과 해군대위 오거스트 드네이로스는 표면공급식잠수 장비형대인 공기 공급 호스를 가진 헬멧형 잠수복을 고안하였는데 이는 비상시에 다이버에게 공기를 공급할수 있도록 등쪽에 장착된 자가식 공기 저장장치를 가지고있었다. 다이버는 호스를 분리하고 등에 진 탱크를 이용하여 수분간 호흡을 할수있었고 이는 스쿠버 장비(폐쇄회로 호흡장비)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76년 영국 상선선원이었던 헨리 프루스는 현대식 재호흡기의 시조인 폐쇄식 스쿠버장비를 개발하여 1880년 영국인 다이버 램버트가 써번강(Servern river)에 침수된 터널에 이장비를 이용하여 수평으로 1Km이동하여 밸브를 잠가 범람을 예방했다고 한다. 이 장비는 압력용기에 약 30Bar 압력으로 충전한 공기로 호흡을 가능하게 하였다. 1911년 독일 드레거(Dragerwerk)사에서 2시간동안 활동할수있는 재호흡기를 시판 1925년 미...
여름 입니다. 그것도 아주더운 점점 물속으로 들어가고 싶어지내요. 보통 세간에서 스킨스쿠버라는 말로 스쿠버 다이빙이 지칭되었고 요즘 근 몇년사이에 프리다이빙이 보급되어 수중활동을 시작하려는 분들에게 스킨다이빙과 프리다이빙의 차이점등혼란을 주는것 같아 정리해봅니다. 더 좋은 정보,틀리는 정보가있으면 조언부탁드립니다. 우리나라말로는 잠수 영어로 DIVE. 그런데 Free, Skin, SCUBA 이놈들이 붙어버리내요. 먼저 스킨스쿠버의 정체부터 밝히고 갑니다 스킨스쿠버는 스킨다이빙과 스쿠버 다이빙의 같이 지칭하는 말로 스쿠버교육시 스킨교육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스킨스쿠버를 한다고들 말하지요. -스킨다이빙 공기통을 사용하지 않고 마스크, 스노클, 오리발 이 세가지 스킨장비만 사용하여 수중활동을 즐기는 행위가 됩니다. 더 정확한 설명을위해 네이버 사전 첨부합니다 -스쿠버 다이빙 스쿠버 SCUBA는 self 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의 약자로 Self: 자가,자체 Contained: 포함된,있다 Underwater: 수중 Breathing: 호흡 Apparatus: 장치 단어 하나씩 설명하기가 더 힘들군요;;; 자가 수중 호흡 장치의 약자로 흔히 일반인들이 산소통메고 들어간다고 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다이빙교육을 받으신분들은 공기통을 메고 호흡장치를 통해 물속에 들어간다고 말씀하시겠지만요 스킨다이빙 사진입니다. 마스크와 스노클, 핀을 착용하고 사진을 찍고있내요 스쿠버 다이징 사진입니다. 공기통과 호흡기를 착용하고 무언가를 보고있군요. 자 이제 스킨과 스쿠버의 차이점을 아시겠지요? 그럼 프리다이빙을 알아보겠습니다. -프리다이빙 사전을 먼저 찾아보겠습니다. 아.. 마스크, 스노클, 핀을 차고 물속에 들어가니...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