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of SCUBA. 스쿠버의 역사

잠수의 역사라고 하면 5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많은 기록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포스팅은 잠수의 역사가 아닌 스쿠버(수중자가호흡)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 볼까 해요.

먼저 물속에서 장치를 숨을 쉬고 활동을 한다고 하면 스쿠버활동이라고 생각되지만
흔히 머구리라고 하는 표면공급식 호흡장치를 사용하는 활동도 있지요.

표면공급식 잠수는 스쿠버 활동과 차이가 있으니 표면공급식 잠수 역사도 넘어가도록하겠습니다.
스쿠버의 역사는 어떻게 보면 장비발달의 역사라고 볼수도있습니다.
아무렇지 않게 우리가 사용하는 이 장비들이 그당시 획기적인 발명품들이 되었지요.
내용이 길어질것같아 말투를 다나까버전으로 바꾸겠습니다.

표면공급식 잠수복장

스쿠버 잠수의 역사

1825년 영국인 윌리엄제임스가 스쿠버 장비를 개발 하여 30Bar의 압력으로 공기를 저장할수있는 공기탱크를  다이버 상체주변에 장착하였으나 다이빙을 한 기록은 확실지 않다.
1865년 프랑스 브노아 루케이롤과 해군대위 오거스트 드네이로스는 표면공급식잠수 장비형대인 공기 공급 호스를 가진 헬멧형 잠수복을 고안하였는데 이는 비상시에 다이버에게 공기를 공급할수 있도록 등쪽에 장착된 자가식 공기 저장장치를 가지고있었다. 
다이버는 호스를 분리하고 등에 진 탱크를 이용하여  수분간 호흡을 할수있었고
이는 스쿠버 장비(폐쇄회로 호흡장비)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76년 영국 상선선원이었던 헨리 프루스는 현대식 재호흡기의 시조인 폐쇄식 스쿠버장비를 개발하여 1880년 영국인 다이버 램버트가 써번강(Servern river)에 침수된 터널에 이장비를 이용하여 수평으로 1Km이동하여 밸브를 잠가 범람을 예방했다고 한다.

이 장비는 압력용기에 약 30Bar 압력으로 충전한 공기로  호흡을 가능하게 하였다.

1911년 독일  드레거(Dragerwerk)사에서 2시간동안 활동할수있는 재호흡기를 시판
1925년 미국인 길 페트릭은 스킨다이빙을 위한 수중에서 사용할수있는 고무고글을 발명
이것을 개량하여 잠수용 물안경과 핀을 발명하였다.
1933년 프랑스인 꼬릴류는 핀을 발명하였다.
같은 해에 프랑스 해군대령 쁘리에는 위에서 언급한 루케이롤이 개발한 장비를 개량하여
공기공급호스를 없에고 호스로부터의 불편함을 제거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인 1940년대 수중침투를 위한 장비개발이 활발하였고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있는 호흡기가 발명되었다.
흔히 현대 다이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쿠스토의 등장등
더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자.
1941년 이달리아군은 영국 군함과 상선을 파괴하기위해 폐쇄식스쿠버를 이용하여 폭팔물을 설치하였다.
1942년 프랑스 해군 대위 쿠스토와 공학자 에밀가냥은 자동레귤레이터(호흡기)를 발명하여가벼운 흡입으로 압축공기가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수중호흡기를 개발하는데 성공
다음해인 1943년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운 현대식 개방회로 스쿠버 장비를 개발하여
'아쿠아렁'이라고 명명하였다. (브랜드 아쿠아렁은 아닌것같아요.)


아쿠아렁은 175Bar 이상의 압력으로 공기를 저장하는 2~3개 의 공기통에 레귤레이터를 연결하여 공기공급조절이 가능하게 하였다. 즉 수심이 변해도 공기가 부족없이 공급 될수있으며 또한 다이버가 숨을 들이 쉴때만 공기가 공급되는 요구식 호흡기의 발명이었다.
최초의 실용적 스쿠버 였고 수면에서의 보조없이 잠수가 가능한 획기적인 발명이었다.
진정한 스쿠버장비의 발명이 되겠다.
 쿠스토는 이 장비의 발명이외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는데 그 업적은 자크 이브 쿠스토
라는 인물을 다음에 따로 포스팅하면서 다루어 볼까한다.


같은 해인 1943년 쿠스토의 동료 듀마는 이장비로 지중해에서 94m까지 잠수했다고 한다.
(감압과 사용방법은 어떻게 하였을까 궁금하기도 하다.)

1951년 저장밸브가 달린 J벨브공기통이 개발되었고 틸만과 모건은 최초의 공식 다이빙 강사 자격 취득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틸만은 후에 1960년에 닐하스와 다이빙협회 나우이를 창설하였다.

1956년 켈리포니아 대학의 닉슨은 최초의 습식 잠수복을 스포츠다이빙에 도입하였다.

1959년 셔우드(Sherwood)사는 피스톤식 호흡기를 생산하였고 같은 해 모나코에서는
15개국의 다이빙계의 대표들이 모여 수중계 유일한 국제기구인 CMAS(세계수중연맹)
을 창설하였으며 쿠스토가 초대회장으로 추대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스쿠버다이빙 교육기관들이 미국을 중심으로 탄생하기 시작한다.
나우이NAUI (1960년) national association underwater instructors
패디PADI(1966) professional association diving instructors

1970년대는 최소한의 훈령기준을 만족하였다는 증명인 다이빙자격증이 발급되기 시작하였고 J밸브에서 K밸브로 교체되어가며 BCD부력조절기가 잠수의 필수장비로 자리잡는등
60년대에 안전문제로 대두되었던 문제점에 대한 보완이 진전되었다.

1980년 듀크대학에서 안전한 다이빙 확보를 위해 DAN(Diver Alert Network)을 설립,
1981년 듀크대학 의료 센터 감압실에서686m 까지 잠수하는 기록을 수립한다.
1983년 오르카 엣지(Orca edge)사에서 최초의 상용화된 잠수컴퓨터를 출시하였다.
1990년대에는 혼합기체사용,전면 마스크, 수중 육성통신기, 수중추진기, 컴퓨터등 스포츠 잠수분야의 발전이 이루었다.
1999년 척드라이버와 죤베넷은 수심 200m까지 잠수기록을 수립 이후 바르테 베스토는 225m 잠수기록을 수립한다.
2001년 존베넷이 필리핀 해역에서 308m까지 스쿠버로 심해잠수하는 대기록을 수립
2003년 영국인 마크 엘얏트가 푸켓에서 313m 까지 잠수기록을 세웠다.
2005년 프랑스 텍다이버인 파스칼 베르나베는 개방회로 잠수장비로  트라이믹스 혼합기체로 330m에 10분간 잠수하는 기록을 수립했다고 한다.
2005년과 2014년 사이의 기록은 자세히 찾아보지 않았지만
2014년 홍해에서 이집트인 아메드가 332.35m기록을 세웠다고 한다.

스쿠버의 역사는 반세기가 조금 넘은 기간동안 인간의 바다에대한 호기심과 기술력의 발달로 많은 발전을 이루었고 앞으로도 많은 발전이 있을것 같습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장비들이 그때 그때 발전되었을 때 마다 사람들의 수중생활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을까 생각하면 실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어쩌면 지루했을 역사 소개 포스팅이 되었을지모르겠지만
포스팅을 위해 여러자료들과 이미지를 검색하는 동안 저 자신은 신나는 포스팅이었습니다.

다음에는 위에서 말했듯이 자크이브쿠스토라는 인물에 대한 포스팅과 다이빙단체의 종류와역사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History of Diving." U.S. Navy Diving Manual. 2009.http://www.s297830378.onlinehome.us/usn/Chap01.pdf
  • "Scuba Diving History." Divinghistory.com. 2009.http://www.divinghistory.com/id19.html
  • "Scuba History." Scubasites.net. 2009.http://www.scubasites.net/scubahistory.html
  • "The Origin of Scuba Diving." Scubaeds.com. 2009.http://www.scubaeds.com/10.html
  • Hanauer, Eric. "Diving pioneers: an oral history of diving in America." Aqua Quest Publications, pp 32-40.
  • History of Scuba Diving." Divingheritage.com. 2009.http://www.divingheritage.com/waybackkern.htm
  • 다이빙 백과사전 도서출판 씨코 
  • Google 

댓글

  1. Stainless Steel Glasses - Titanium-Arts
    Stainless steel-coated glasses ecm titanium make for an titanium strength exceptional gaming experience. Their 2017 ford fusion energi titanium unique t fal titanium craftsmanship and premium craftsmanship make properties of titanium an ideal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쿠버다이빙 단체/협회&교육 선택의 기준과 참고사항

프리다이빙? 스킨다이빙? 스쿠버다이빙? 다이빙의 종류를 알아볼까요?